본문 바로가기

점화플러그 역할과 교체시기, 고장증상

Run수경 2023. 11. 20.
반응형

점화플러그는 자동차의 엔진에서 매우 중요한 부품 중 하나로, 고장 나게 되면 자동차 출력 저하부터 시동 불능 문제까지 생길 수 있습니다. 점화플러그는 사용연한에 따라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인데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점화플러그의 기능과 교체시기, 고장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점화플러그-고장증상-교체시기
점화플러그 고장증상과 교체시기

 

 

점화플러그 역할

 

 

점화플러그역할
점화플러그 역할

 

점화플러그는 가솔린이나 LPG와 같은 연료와 공기가 섞인 혼합기체를 전기적인 불꽃으로 점화시켜서 폭발을 일으키는 기능을 합니다. 이렇게 발생한 폭발력이 힘을 만들어서 바퀴를 회전시키고, 차량을 움직이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점화플러그는 차량의 시동, 출력, 연비에 큰 영향을 주는 부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점화플러그의 종류

 

 

점화플러그는 재료에 따라서 니켈, 백금, 이리듐 등으로 나뉩니다.

 

 

니켈 점화플러그

 

점화플러그-니켈
점화플러그-니켈

 

니켈 점화플러그는 가격이 저렴하고 구하기 쉽지만, 내구력이 약하고 전극이 빨리 닳아서 4만km 정도 운행하면 교체해야 합니다.

 

 

백금 점화플러그

 

점화플러그-백금
점화플러그-백금

 

백금 점화플러그는 니켈보다 전극이 닳는 속도가 늦고, 점화능력이 높아서 10만km 정도 운행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명장이 백금 점화플러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는 영상 남겨둡니다.

 

 

 

이리듐 점화플러그

 

점화플러그-이리듐
점화플러그-이리듐

 

이리듐 점화플러그는 백금보다 더 내구력이 강하고, 점화능력이 우수하여 16만km 정도 운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용이 비싸고, 구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점화플러그 교체시기

 

 

점화플러그-교체시기
점화플러그-교체시기

 

점화플러그의 교체시기는 제조사마다 다르게 권고하고 있으므로, 차량의 사용설명서나 정비소에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점화플러그는 엔진의 상태나 운전환경에 따라서도 닳는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점검하 것이 필요합니다.

 

 

 

점화플러그 고장증상

 

 

점화플러그-고장증상
점화플러그-고장증상

 

점화플러그가 고장나거나 오래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시동이 한번에 잘 걸리지 않습니다.
  •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저속 이동 상황에 갑자기 시동이 꺼집니다.
  • 액셀을 밟아도 차량의 가속되지 않거나 힘이 없습니다.
  • 연비가 저하되거나 배기가스가 짙은 색으로 많이 나옵니다.
  • 엔진에서 떨리는 소리나 무언가 터지는 소리가 납니다.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면, 점화플러그를 점검하거나 교체해야 합니다

 

 

 

점화플러그 교체방법

 

 

점화플러그 교체는 초보자가 하기는 다소 어려울 수 있으며 교체방법을 잘 숙지하셔야 합니다.

 

 

 

점화플러그는 엔진룸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데, 보통 엔진헤드 위에 점화코일이라는 부품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점화코일을 분리하면, 점화플러그가 나오는데, 이를 소켓렌치로 돌려서 빼낼 수 있습니다. 점화플러그를 빼낸 후에는 전극의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청소하거나 교체합니다.

점화플러그를 교체할 때에는 새로운 점화플러그의 간극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엔진실에 다시 장착합니다.

 

 

 

점화플러그의 간극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사용설명서나 정비소에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점화플러그는 자동차의 중요한 부품이므로, 적절한 관리와 교체가 필요합니다. 점화플러그의 상태에 따라 차량의 성능과 연비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점화플러그의 기능과 교체시기에 관해 알아보았는데,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