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양 망해암 사찰 소개(위치, 역사, 가는길)

Run수경 2023. 11. 4.
반응형

경기도의 안양시에는 망해암이라는 사찰이 있습니다. 이 사찰의 위치와 전해내려오는 역사, 그리고 올라가는 길에 대해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안양시 망해암 조계종 사찰
망해암에서 바라본 안양동

 

 

안양 망해암 위치

 

안양 망해암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에 위치한 조계종에 소속된 사찰입니다.

 

 

 

이 곳은 관악산의 한 지류가 흘러 나지막한 산을 만들었는데, 망해암은 이 산 정상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입지의 불리함 때문에 산 정상의 좁은 대지와 절벽을 이용해 건물들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망해암의 역사

 

망해암은 경기도 안양시 안양동에 위치한 조계종에 소속된 사찰로, 관악산 지류의 야트막한 산 정상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사찰은 신라 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했으며, 조선 영조 때 신경준이 지은 가람고에도 기록이 되어 있는 유서 깊은 사찰입니다.

또한, 조선 순조 3년 (1803)에 정조대왕의 모친인 홍대비께서 중건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안양시 망해암 사찰
망해암에서 본 풍경

 

 

망해암에는 전해내려오는 구전설화가 있습니다.

 

조선 세종임금 때 삼남지방에서 조세로 받은 양곡을 실은 여러 척의 배가 한양을 향해 팔미도 근해에 이르렀을 때 갑자기 풍랑이 거칠어졌습니다.

놀란 뱃사람들이 우왕좌왕하고 있을 때, 돌연 뱃머리에 스님 한 분이 나타나 뱃사람들을 진정시켜 지혜롭게 위기를 넘겼습니다. 배들이 한강에 무사히 닿은 뒤 뱃사람 중 몇이 곧 바로 망해암을 찾아갔습니다.

 

그러나 생명의 은인인 그 스님은 없고 대신 법당 안에 그 스님의 용모를 꼭 빼어닮은 부처가 하나 모셔져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이에 부처님의 큰 자비로 살아났음을 깨달은 그들은 이런 사실을 임금께 아뢰었습니다. 세종임금은 이를 가상히 여겨 매년 한 섬의 공양미를 이 망해암 불전에 올리도록 분부하였는데, 이 공양미는 그 후 4백여 년간이나 계속되었다고 합니다.

 

 

망해암 가는 길

 

망해암은 차량이 아닌 관악산산림욕장 산책로를 통해서도 올라올 수 있으며, 양명고등학교 맞은편 등산로안양예술공원 등산로 등에서 올라오실 수 있습니다.

 

안양시 망해암
안양 망해암

 

 

또한, 망해암에서는 안양시내의 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특히 일몰 시간에는 멋진 풍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망해암이라는 사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망해암의 역사, 가는 길, 지리적 특징 등에 대해 상세히 안내해드렸으니, 꼭 한번 방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