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리부 배터리 교체하고 시동 꺼짐 현상 사라짐

Run수경 2023. 10. 23.
반응형

자동차 운행 중 갑자기 시동이 꺼지면 매우 당혹스럽고 때에 따라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말리부를 운행하면서 이런 현상을 겪었는데요. 배터리를 교체하면서 문제가 해결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의 목차

1. 자동차 시동 꺼짐 증상

2. 쉐보레 서비스센터 방문

3. 배터리 교체

4. 시동 꺼짐 문제 해결

 

 

1. 시동 꺼짐 증상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지만 한 번씩 '차량 점검 요망'이라는 메시지가 계기판 중앙 디스플레이에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얼마 후, 저속에서 시동이 꺼지는 증상이 생겼습니다. 매번 그랬던 건 아니고 가끔씩 이런 문제가 생겼습니다. 곧바로 시동을 다시 걸면 또다시 정상적으로 운행이 가능했고요. 

 

 

 

 

시동 꺼짐 현상이 생겼을 때의 환경을 생각해 보면 모두 10~20km/h 정도의 저속으로 움직이는 상황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가다 서다를 반복하던 중 잠시 정차했을 때 시동이 꺼졌습니다.

 

 

 

2. 쉐보레 서비스센터 방문

 

말리부에서 이런 문제가 종종 생기니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공식 서비스센터에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현장 방문접수를 하면 대기시간이 발생하니, 서비스센터 예약을 미리하고 방문하는 게 더 편리합니다.

 

 

 

정비사가 몇 시간 차를 들여다보더니 메인 배선의 시그널이 연결됐다 끊겼다를 반복한다고 하네요. 여러 부분을 확인해 봤지만 이것 이외에는 이상한 점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큰 문제가 생겼습니다. 메인 배선 전체를 교체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즉, 엔진룸부터 트렁크까지 뻗어나가는 배선을 모두 다 걷어내고 다시 깔아야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비용은 100만 원을 훌쩍 넘어가네요. 아무리 국산차 순정 부품이라 해도 배선을 모두 교체해야 하니 가격이 비쌉니다.

 

 

 

 

3. 배터리 교체

 

고민하던 중 차선책으로 배터리를 교체해보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런 문제가 생기기 전부터 배터리 수명이 다했을 거라 예상했기 때문인데요. 더군다나 배터리 방전이 너무 자주 되는 바람에 배터리의 성능이 많이 저하되었을 게 분명했습니다. 말리부 배터리를 직접 교환해도 어렵지 않지만, 집 주변에 저렴하게 배터리를 취급하는 곳을 발견하고서 교체 작업을 맡겼습니다. 제가 구매한 배터리는 로케트 GB60044라는 모델입니다.

 

 

 

 

 

4. 시동 꺼짐 문제 해결

 

큰 기대없이 배터리를 교체했는데 시동 꺼짐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배터리를 교체하고 20,000km 넘게 주행하는 동안 단 한 번도 시동이 꺼지지 않았네요. 배선을 교환했더라면 비용이 훨씬 많이 들었을 텐데, 정말 저렴하게 시동 꺼짐 증상을 해결하였습니다.

 

 

 

오늘은 말리부 배터리를 교체하여 시동 꺼지는 문제를 해결했던 경험을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운행 중 갑자기 시동이 꺼져버리면 난처한 상황이 생기거나 안전 문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점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저처럼 배터리를 바꾸고 해결될 수도 있으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