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행중 핸들잠김현상 원인, 대처법

Run수경 2023. 11. 29.
반응형

주행중 갑자기 자동차 핸들이 움직이지 않거나 먹통이 되면 어떤 기분이 들까요? 하지만 이런일이 우리 주변에 종종 일어나고 있습니다. 시동이 꺼져있을 때도, 켜져있을 때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인데요. 주행중 핸들이 잠기는 원인이 무엇인지와 증상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행중핸들잠김현상
주행중 핸들잠김 현상

 

 

 

 
 

[ 포스팅 목차 ]

 

1. 핸들잠김현상이란?

2. 주행중 핸들잠김현상 원인

3. 주행중 핸들잠김현상 대처법

 

 

 

 

핸들잠김현상이란?

 

 

핸들잠김현상이란 자동차의 핸들이 갑자기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차량의 방향 제어가 불가능해지므로 매우 위험하고,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핸들잠김현상은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발생할 수도 있고,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자동차-핸들잠김현상
자동차-핸들잠김현상

 

 

시동 꺼진 상태 핸들잠김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의 핸들잠김현상은 자동차의 도난 방지 기능핸들락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핸들락은 주차할 때 핸들을 정방향으로 두지 않거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핸들을 장난으로 흔들었을 때 작동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핸들락을 해제하는 방법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시동 켜진 상태 핸들잠김

하지만,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의 핸들잠김현상은 자동차의 결함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에는 핸들락을 해제하는 방법으로는 해결할 수 없으며,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주행중 핸들잠김현상 원인

 

 

자동차-핸들잠김현상-원인
자동차-핸들잠김현상-원인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의 핸들잠김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전동식 스티어링휠 (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의 고장입니다. 이는 시동이 켜져 있는 상태 즉, 차량을 주행하는 도중에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전동식 스티어링휠은 핸들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모터를 작동시켜 차량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데요. 전동식 스티어링휠의 핵심 부품인 토크센서가 손상되면 스티어링휠 모터에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핸들 잠김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토크센서에 문제가 있을 경우 핸들이 무거워지는 증상과 함께 EPS (Electronic Power Steering) 경고등이 켜집니다.
따라서 주행중 EPS 경고등이 켜졌다면 핸들잠김현상의 전조증상일 수 있으므로 차량을 세우고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주행중 핸들잠김현상 대처법

 

 

자동차-핸들안움직임
자동차-핸들안움직임


주행중 핸들이 움직이지 않는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한 밀입니다. 도로를 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핸들잠김이 발생한다면 차량을 빠르고 안전하게 정차시키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핸들잠김이 걸렸다고 해도 힘을 억지로 가하면 핸들이 약간 움직일 수 있습니다. 경적을 울리고 비상등을 켜 주변 차량에 주의를 주면서 신속히 차를 정차시키고 정비소에 들어가야 합니다.

 

또한, 앞에서 설명했듯이 EPS 경고등이 떴는지 꼭 확인하세요. 영상에 자세한 내용이 나와있습니다.

 

 

 


 

 


이상으로 주행중 핸들잠김현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현상은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대비를 해야 합니다. 평소 자동차에 작은 이상 신호라도 감지되면 꼭 점검을 받아 큰 사고를 예방합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