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터쿨러 기능 고장증상 누유 수리가격

Run수경 2023. 11. 28.
반응형

자동차 부품 중 인터쿨러라는 부품이 있습니다. 이는 터보차에만 있는 부품이며 자연흡기(NA)는 없는데요. 그 이유는 터빈에서 압축된 공기를 냉각하기 때문입니다. NA차량에는 터빈이 없죠. 오늘은 중요 부품 중 하나인 인터쿨러의 역할과 고장 증상, 그리고 누유 발생 문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인터쿨러-고장증상
자동차-인터쿨러-고장증상

 

 

 

 
 

[ 포스팅 목차 ]

 

1. 자동차 인터쿨러 역할

2. 자동차 인터쿨러 고장증상

3. 자동차 인터쿨러 누유

 

 

 

 

자동차 인터쿨러 역할

 

 

자동차인터쿨러
출처: 유튜브 차형TV

 

인터쿨러는 터보차저가 장착된 자동차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터빈에서 압축된 공기를 냉각하여 엔진의 흡입 효율을 높이는 장치입니다. 공기를 냉각하면 왜 효율이 높아질까요? 바로 밀도 때문입니다.

 

터보엔진은 공기를 압축하여 엔진 출력을 높이는 형식인데, 압축하는 과정에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밀어넣을 수 있는 공기의 양이 작아지고 즉, 효율이 떨어집니다. 떨어지는 효율을 보완하기 위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이죠.

 

 

 

과거에는 레이싱카 등에서만 인터쿨러를 사용했으며, 일반 대중차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대중차에 인터쿨러를 탑재한 경우, 아주 자랑스럽게 인터쿨러 데칼 스티커가 부착되곤 했는데요. 현재는 터보엔진이라면 모두 인터쿨러를 탑재한다고 봐도 됩니다.


인터쿨러는 공랭식과 수랭식으로 나뉘는데, 공랭식은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열을 제거하고, 수랭식은 냉각수를 이용하여 열을 제거합니다.

 

 

 

자동차 인터쿨러 고장 증상

 

 

인터쿨러가 고장나거나 인터쿨러 호스에 크랙이 생기면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

인터쿨러가 고장나게 되면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엔진에 들어가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로 인해 연소가 불완전하게 되어 마력과 연비가 저하되고 배기가스가 뜨거워집니다. 인터쿨러 고장으로 여러가지 측면에서 나비효과처럼 문제가 다발적으로 생기죠.

 

자동차-인터쿨러-고장현상



또한, 터보 압력이 떨어져서 가속이 느려지고, 터보 랙이 심해집니다. 터보 랙은 터보차저가 작동하기까지의 시간차를 하는데요. 인터쿨러가 고장나면 터보 랙이 길어져서 엔진의 반응이 느려지게 되고 운전자가 체감할 정도로 가속감이 이상해집니다. 액셀을 밟아도 출력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자동차 인터쿨러 누유

 

 

인터쿨러 누유란 인터쿨러로 연결된 관(파이프)나 호스에서 공기가 샌다는 의미입니다. 인터쿨러 누유 발생 시, 공기가 새어나가기 때문에 터보 압력이 떨어지고, 엔진에 들어가는 공기의 양이 정상수치보다 줄어들게 됩니다. DFP가 장착된 디젤 차의 경우, DPF 터지는 주기가 상당히 빨리 도래하는 증상도 있습니다.

 

 

자동차-인터쿨러-고장현상

 

 

또한, 인터쿨러가 누유가 발생하면 오일이 범퍼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오일이 누유되면 엔진의 윤활력이 떨어져서 엔진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보통 인터쿨러 누유 문제는 인터쿨러 호스나 파이프를 새제품으로 교체하면 쉽게 수리 가능합니다. 

 

 

 


 

 


인터쿨러는 터보차저가 장착된 자동차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공기를 냉각하여 엔진의 흡입 효율을 높이는 장치입니다. 인터쿨러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누유가 발생하면 즉시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으로 자동차 인터쿨러의 역할과 고장 증상, 그리고 누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