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형 독감 증상, 격리기간, 약, 전염 총정리

Run수경 2023. 10.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 코로나와 독감이 다시 유행한다는 기사들이 많이 보도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10~11월에 많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A형 독감증상과 격리기간, 전염 여부 등 필수적으로 알아야 될 정보를 전달드리겠습니다. 미리 예방하셔서 아픈 일 없도록 하세요!

 

 

 

1. 독감에 대해

 

1.1 독감의 종류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 4급 감염병입니다. 종류는 A형, B형, C형으로 구분됩니다. 이 세가지 유형 중 A형과 B형이 사람이 사람에게 감염되었을 때 증상이 발현되는 유형입니다.  A형이 대부분의 인플루엔자 사례를 유발하고, 나머지는 B형이 원인이라 보시면 됩니다.

1.2 감기와의 차이점

근본적으로 감기와 독감은 다른 질환입니다. 기침이나 발열, 재채기, 콧물 등 감기와 유사하기 때문에 잘 모르고 지나칠 수도 있는데요. 독감은 그 강도가 훨씬 세기 때문에 며칠 지나지 않아 증상의 심각성을 알게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체온이 38도, 39도, 40도까지 치솟게 되어 어지러움증, 구토, 무기력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A형 독감의 특징

 

2.1 강도

A형 독감이 독감 중 가장 강력합니다. 증상부터 전염성까지 모두 가장 강력하기 때문에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약을 처방받아야 하고 격리도 필요합니다. 격리가 필수는 아니지만 열이 내리지 않을 때는 전염력을 갖고 있는 것이므로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2.2 대표적인 증상

 

독감 고열

 

가장 대표적인 증상(특히 감기와는 다르게)은 고열입니다. 고열과 오한이 동반되어 잠자는 것도 아주 고통스러울 수 있는데요. 인후통과 근육통도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무기력한 증상도 보일 수 있습니다. 피부에 열이 오르면서 붉게 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눈이 촉촉해지고 충혈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요. 

 

 

2.3 합병증

A형 독감이 무서운 이유 중 하나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바이러스성 폐렴이 가장 대표적인 합병증이며 기침, 호흡곤란, 발열 지속, 가래 등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미리 예방 접종을 하여 합병증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3. 잠복과 격리 기간

 

3.1 잠복기

A형 독감은 보통 1~3일 정도 지난 후에 증상들이 하나씩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즉, 잠복기가 있는 것인데요. 잠복기가 끝나고 증상이 시작되면 고열이 동반되고, 고열이 동반되었다는 것은 전염력이 강해졌다는 의미입니다.

3.2 격리

한미플루

 

격리가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권고하는 편입니다. 전염 예방을 위해 항바이러스제(한미플루 등)를 5일간 복용해야 하며, 최소 5일 이상 격리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의무가 아니기 때문에 회사나 학교, 기관 등에서 병가를 신청 여부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직접 확인을 해봐야 하는 부분입니다.

 

 

 

4. 예방접종

 

독감은 기본적으로 예방접종을 반드시 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질병관리청에서 운영하는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지정의료기관과 접종 가능한 백신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가을, 겨울철 무섭게 유행하는 독감, 그 중에서 A형 독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A형 독감의 특징과 격리기간, 약, 증상, 잠복기를 참고하셔서 항상 건강 지킬 수 있도록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