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장하는 방법, 순서, 필수 재료, 지역별 김장 차이

Run수경 2023. 11. 5.
반응형

김장은 대한민국의 가을 풍경 중 하나로, 많은 가정에서는 이 시기에 김치를 담그는 전통적인 행사를 진행합니다. 이 글에서는 김장하는 이유, 순서, 방법, 그리고 필수 재료와 지역별 김장방식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김장하는 이유

 

김장은 한국의 전통적인 방법으로 겨울철 신선한 채소나 먹을거리를 구하기 어려운 시기에 김치를 많이 담가 저장해두었습니다. 이는 식이섬유와 비타민, 무기질 등이 풍부한 김치가 겨울철에 우리 몸을 건강하게 지켜줄 수 있는 완전 식품이기 때문입니다.

 

김장김치

 

 

 

2. 김장 필수 재료

 

  • 배추 (절임): 2.4kg
  • 쪽파: 200g
  • 대파: 3대
  • 굵은소금 (절임): 200g
  • 무: 1/2개 (700g)
  • 고추가루
  • 액젓
  • 새우젓
  • 마늘
  • 생강
  • 양파

 

한국 김치

 

 

 

 

3. 김장하는 순서

 

3.1 배추 절이기

배추를 반으로 자르고 조금 큰 배추는 1/4 조각으로 만들어야 꺼내 먹기 좋습니다. 큰 스덴 대야에 소금을 대접으로 2대접씩 녹여서 담궜다가 차곡차곡 밑둥이 아래로 향하게 잘 쌓아뒀습니다.

 

참고로 배추를 절이는 대야는 너무 작으면 매우 불편합니다. 김장용으로 판매되는 스텐 소재의 대야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2 야채 다듬기

단파와 대파 뿌리쪽 밑둥 잘라내고 깨끗하게 씻어서 물기를 빼줍니다. 갓은 떡잎진것만 잘라내고 밑둥이 굵은 부분은 잘라냅니다.

3.3 육수 만들기

대파, 단파, 파뿌리 등을 넣고 물이 잠길만큼 부어 팔팔 끓여주면 됩니다.

 

 

3.4 찹쌀풀 쑤기

찹쌀 한컵에 만들어둔 김장 야채육수를 5배정도 넣고 푸욱 퍼지게 해준 후 죽처럼 되면 한김 식혀 믹서기에 갈아줍니다.

3.5 김치소 만들기

큰 스텐 대야에 채썬 무우에 고추가루를 물들입니다. 육수를 넣고 멸치액젓, 새우육젓, 찹쌀풀, 배와 양파, 무 1개, 사과 2개를 곱게 갈아 넣고 고추가루 8근 정도를 넣어서 생강과 마늘도 취향껏 넣습니다. 김치소를 만들기 번거로우시다면 김치소(김치양념)만 별도로 구매하여 김장하시는 것도 편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3.6 버무리기

절여진 배추를 골고루 버무려주기만 하면 끝입니다.

 

 

 

4. 지역별 김장 방법

 

4.1 경상도

경상도는 비교적 따뜻한 기후로 인해 상하지 않도록 소금을 많이 넣고 멸치젓과 생 갈치를 주로 사용하는 김치를 담급니다.

4.2 전라도

전라도는 김치가 맵고 자극적인 맛으로 유명합니다. 배추김치뿐만 아니라, 갓김치, 깍두기, 총각김치, 나박김치 등 다양한 종류의 김치를 담그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4.3 충청도

충청도는 닷, 미나리, 청각, 삭힌 풋고추를 이용하여 비교적 소박한 김치를 담급니다.

4.4 강원도

강원도는 기후가 춥고 습해 김장 시기가 빨라, 11월 초부터 김장을 시작합니다. 배추김치뿐만 아니라, 콩나물김치, 더덕김치, 무청김치, 얼갈이배추김치 등 다양한 종류의 김치를 담그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오늘은 한국인이 사랑하는 김치를 김장하는 방법과 과정에 대해 설명해드렸습니다. 소개해드린 준비물과 김장순서를 숙지하셔서 맛있는 김치를 담아보시길 바랍니다. 지역별로 김장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김치의 맛도 다릅니다. 다른 지역의 김치를 맛보는 재미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